관리 메뉴

고려대학교 대학원신문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가치창출 본문

4면/고대 아카데미아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가치창출

고려대학교 대학원신문 2021. 5. 6. 16:44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가치창출

 

문화유산학협동과정 박사 이현정

 

목차 

1장 서 론 

  제1  연구배경

  제2  문제제기와 선행연구검토 

  재3  연구방법과 논문구성

 

2장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지역사회·

  제1  문화유산 보전의 지속가능성

  제2  지속가능성과 지역사회

  제3  문화유산 보전과 지역사회의 연계

 

3장 경제적 가치창출

   1절 역사문화경관을 보전한 도시재생

1. 역사문화경관보전을 통한 도시재생 : 볼로냐 역사문화지구재생사업 

2. 지역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 전주한옥마을조성사업

3. 전통과 미래의 공존을 통한 지역브랜드 강화

   2절 근대역사문화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1. 근대문화도시 조성사업 : 군산근대문화거리

2. 산업유산을 활용한 재생사례 : 부산항

3. 지역문화 특성화와 지역경제활성화

  3절 소결

 

4장 사회적가치 추구

  1절 민관협력 거버넌스 구축 및 강화

1. 공공-민간 파트너십(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사례

 1) 헤르클라네움 보전 프로젝트(HCP)

 2) 경주 황남지구 보존육성 사업

2. 시민참여 거버넌스 사례

 1) 빌바오 메트로폴리30, 빌비오 리아 2000

 2) 서울시 도봉구 평화문화진지 조성사업

3. 거버넌스를 통한 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 실현

  2절 문화유산을 교육을 통한 사회참여 

1. 박물관의 문화유산 교육 사례

 1) 전통적 방식의 문화유산 체험교육 : 전곡선사박물관

 2) 건축과 전시를 통한 역사교육 : 베를린유대인박물관

 3)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문화유산의 전승과 교육 : 가상고고학박물관(MAV)

2.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속적 교육 강화

  3절 소결

 

5장 환경과 생태 보전

  1절 역사.문화 공간환경 보전

1. 주변환경과의 유기적 연결과 조화 : Flaminio 문화예술지구 현대화 계획

2. 전통과 미래의 공존 : 고도보존지구육성계획

3. 문화유산의 현대적 계승을 통한 지속가능한 문화창출

 

  2절 지속가능한 생태환경을 위한 문화유산 관리

1. 기후환경 변화와 문화유산

2.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관리를 위한 영향평가

  3절 소결

 

6장 결론

 

 

논문요약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한 문화유산의 기여에 관한 논의가 진척되고 있다. 그에 따라 문화유산은 경제적·문화적·사회적 재생을 촉진하는 매개체로 주목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한정된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 그리고 보다 더 나은 삶에 대한 논의가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은 유산의 가치를 훼손하거나 고갈시키면서 유산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유산의 진정한 가치를 이해하고 지역 주민과 유산이 함께 상생하고 조화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과 관련해 먼저 경제적 가치 창출과 관련해 살펴보았다. 최근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문화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지역 경제를 풍요롭게 만들고 지역의 정체성과 다양성을 바탕으로 지역 구조를 변화시킨다. 

 역사·문화적 자원을 활용하고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여 장소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사회·경제·문화적 기능을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오래된 역사적 문화유산이 사회적 역할을 계속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적절한 보전과 활용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문화유산의 사회적 가치 추구에 관해 살펴보았다. 현대사회는 세계화의 흐름 속에 각 지역 고유의 문화를 세계에 알려 지역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역 문화를 보전하는 한편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역민들과 관()의 협력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그 일환으로 지역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지속가능한 발전과 공공-민간의 협력이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2007년 세계유산위원회는 지역사회(Community)를 새로운 전략목표로 추가하였다. 이는 문화유산 보전 정책에서 지속가능한 발전과 참여가 더욱 중시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정부 주도의 문화유산 보전 방식이 아닌 지역의 역사적 문화유산을 지역민이 참여해 함께 보전하도록 하는 사회적 인식을 심어주게 되었다.

 이제 문화유산은 기존의 역사적·사회적·경제적 가치는 물론 그 지역 사람들의 정서적 가치까지 담고 있는 지역발전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았다. 이처럼 지속가능한 문화유산의 보전을 위해서는 사회구성원들의 생활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더불어 문화유산 관련 사업은 지속적인 정책 시행을 위한 지역 내재적 발전이 필요한 사업이기 때문에 지역민들의 공감대를 얻는 것이 필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는 문화유산 분야도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ICT를 기반으로 하는 지식 사회의 발전은 문화유산의 디지털화를 통해 문화유산의 접근 가능성과 지속가능성을 제고 할 것이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박물관 역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문화유산이 양방향으로 소통하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ICT 기술은 현대사회에서 박물관의 기능과 역할은 단순하고 일방적으로 전시물을 관람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전시물을 체험하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가치와 관련해 살펴보았다. 최근 기후변화 문제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내 및 국제정책 수립 및 추진에 있어서 핵심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 각 국가의 발전목표와 기후변화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기후변화 정책이 국가와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연계를 통해 경제발전 목표 및 정책에 기후변화 문제를 반영시켜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 관련 정책 수립은 경제사회 및 환경정책의 상호 간 조화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문화유산의 보전활용의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는 문화유산의 향후 미래발전 방향 모색에 있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문화유산 분야의 발전은 경제, 사회 및 환경 분야 등 외부 요인의 영향에서 분리될 수 없다. 이러한 변화는 문화유산에 관한 관점이 확대되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또한 문화유산은 이제 개발, 문화다양성 및 지속가능한 공동체와 같은 분야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터뷰

해당 전공 선택 계기

 학부 4학년 무렵 고려대학교박물관에서 자원봉사를 한 것이 본격적인 계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다 자연스럽게 석사과정(미술사학)에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석사과정 중 국·공립·대학박물관에서 계속 연구원 생활을 하며 경력을 쌓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예사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박사과정 진학 전까지 박물관과 문화유산 관련 분야에서 다양한 실무 경험을 쌓았습니다. 그러던 중 실무를 하다 느낀 어려움과 의문들을 더 나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고자 박사과정에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실무뿐 아니라 답사와 여행을 통해 얻은 다양한 경험들로 인해 자연스럽게 이 전공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논문 주제 선정 이유, 논문을 통해 독자에게 꼭 전달하고자 했던 내용

 문화유산은 정치, 사회, 경제, 기술, 사상문화 등 인간 사회의 제반 요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그 변화를 탐구하는 것은 결국 그 시대의 역사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파악해야 합니다. 이 주제는 문화유산과 우리가 사회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과 문제의식에서 시작했습니다. 그간 답사와 여행을 다니며 경험하고 생각했던 것과 실무를 하며 필요하다고 느낀 것, 또한 현재 동향과 앞으로의 전망을 고려해 선정했습니다. 특히 세계유산이나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개념 적용 등 박물관 업무나 문화유산 관련 분야의 업무를 수행하다보니 해당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특히 21세기 새로운 패러다임인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과 사고가 문화유산 분야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또 줄 것인가에 관한 문제의식이 필요성을 고민하던 중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의 세 축인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요인과 문화유산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는 독자들 역시 관심을 갖고 살펴볼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논문 쓰는 과정에서의 어려움

 제 주제는 넓은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각종 자료 수집부터 정리, 그리고 각 주제별 해당 분야의 선행연구와 방대한 자료의 양 때문에 정리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논문을 쓰는 과정은 수집하고 정리한 자료를 토대로 연구 주제, 방법 등을 스스로 찾아가는 것입니다. 저의 경우 특히 방대한 자료를 선별해 글로 완성도 있게 마무리해 전달하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주제의 연구일지라도 전달력이 떨어진다면 결코 좋은 논문이라 할 수 없을 것입니다. 때문에 글쓰기는 매우 중요하고 이는 꾸준한 훈련이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스스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논문 쓰기를 앞 둔 후배들에게 조언 한마디

 박사논문은 향후 연구자 본인의 전문성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본인이 정말 관심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의 동향과 전망을 고려해 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박사과정에 있는 동안 다양한 이슈를 접하고 자신의 경험을 접목해 자신의 방향성을 구체화한다면, 실제 논문을 쓰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논문을 쓰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고 많은 어려움과 스트레스에 그대로 노출되는 상황의 연속일 수 있지만, 차후 자신을 대신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하고 견뎌낸다면 좋은 결과가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을 겁니다. 그리고 자신의 전문성을 키우고 싶은 분야를 연구한다면 논문은 더 넓고 다른 세상으로 갈 수 있는 길을 마련해줄 것이고, 앞으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