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보건의료
- 5.18 #광주항쟁 #기억 #역사연구
- 수료연구생제도 #고려대학교대학원신문사 #n번방 #코로나19
- 죽음을넘어
- 심아진 #도깨비 #미니픽션 #유지안
- 시대의어둠을넘어
- 한상원
- 권여선 #선우은실 #하늘 높이 아름답게 #김승옥문학상수상작품집
- 김민조 #기록의 기술 #세월호 #0set Project
- 항구의사랑
- 산업재해 #코로나시국
- 공공보건의료 #코로나19
- 국가란 무엇인가 #광주518 #세월호 #코로나19
- 고려대학교언론학과 #언론학박사논문 #언론인의정체성변화
- 518광주민주화운동 #임을위한행진곡
- 고려대학교대학원신문사
- 애도의애도를위하여 #진태원
- n번방
- 선우은실
- 알렉산드라 미하일로브로나 콜른타이 #위대한 사랑 #콜른타이의 위대한 사랑
- 미니픽션 #한 사람 #심아진 #유지안
- 쿰벵
- 쿰벵 #총선
- 임계장 #노동법 #갑질
-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 마크 피셔 #자본주의 리얼리즘 #염동규 #자본주의
- 코로나19 #
- BK21 #4차BK21
- Today
- Total
목록2025/05/19 (6)
고려대학교 대학원신문

그때 그들의 열망, 오늘 우리의 혼란모스크바 밀사- 선택> 무브먼트 당당, 김민정 연출 김소연_ 연극평론가 한 백 년쯤 시간이 흐른 미래를 상상해보자. 2125년쯤? 미래의 사람들에게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는 어떤 시대로 기억될까. 지금 우리가 온통 관심을 쏟고 있는 것들을 그들도 알고 있을까? 만약 잊혔다면 왜일까? 답을 구할 수 없는 질문이다. 그럼 백 년 전으로 시선을 돌려보자. 백 년 전, 1925년, 당신은 무엇을 기억하고 있는가. 혹은 그 시대를 되돌아본다면 당신은 무엇을 찾아 보고 싶은가. 모스크바 밀사- 선택>은 100년 전 1925년 4월 18일 조선공산당 창당을 ‘선택’했다. 가파른 계단을 올라 공연장에 들어서면 관객들에게는 색깔이 있는 스티커와 공연리플렛 그리고 양 끝에 ㅇ×..

2% 네안데르탈인 심혜린 과학칼럼니스트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1998년 작 소설, 『아버지들의 아버지』에서는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흥미로운 상상을 다룬다. 주인공들은 인류의 진화 과정 중 미싱 링크를 둘러싼 사건에 휘말리는데, 작중에서 이 미싱 링크는 다름 아닌 370만 년 전 발생한 이종 간 교배다. 아직 유전자가 안정화되기 전인 인류 진화 초기, 유인원의 조상과 돼지의 조상 사이에서 우연히 탄생한 생명체가 현대 인류의 조상이 되었다는 상상이다. 물론 현생 인류와 돼지는 종 간 생식이 불가능하다. 현대 과학에서 종을 구분하는 지표 중 하나가 개체 간 생식 가능 여부임을 떠올려 본다면 당연한 이야기다. 그렇다면 소설 속에서 다룬 것과 같은 먼 과거에는 어땠을까? 현생 인류는 단일 ..
“살면 살아져”라는 말을 내뱉기 위해 김민준 기자 넷플릭스에 공개된 지 두 달이 되어가지만,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는 아직도 인기를 끌고 있다. 누군가는 이 드라마를 보고 가족을 떠올리며 감동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드라마의 신파성을 비판하기도 한다. 아마 그 이유는 같을 것이다. 이 드라마의 저변에서 흐르는 한 가지 주제가 ‘이별’이기 때문이다. 각자가 겪었던, 혹은 앞으로 겪게 될지 모르는 이별을 떠올리며 눈물이 나기도, 한편으로는 불편하기도 하였을 것이다. 연인과의 이별부터 수십 년을 함께 한 친구와의 이별, 그리고 가족의 이별까지, 《폭싹 속았수다》는 다양한 양상의 이별을 보여준다. 범위를 좀 더 확장해 본다면 한국 근대사 속 수많은 이별까지 거론할 수 있겠다. 올림픽 유치로 얼마나 많은 사람..
늙지 않는 햇살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전민혜 매일 차고 다니는 시계가 있다. 서른 해는 족히 된 시계. 줄을 줄이고 배터리를 교체하고 다시 주인을 찾은 시계. 반짝임이 옅어진 이 시계는 매일 끼는 반지와 함께한다. 이 둘은 나의 늙지 않는 햇살이 내게 준 것이다. 분이씨. 나의 외할머니. 언제 샀는지도 기억나질 않는 그 시계를 당신께서는 얼마나 차 보셨을까. 나는 그 시계를 찬 손목을 한 번도 본 적이 없었다. 시계와 함께 새 반지를 받은 건 대학 시절 오랜만에 고향에 들렀을 때였다. 할아버지 몰래 내 손을 잡고 들린 금방에서 할머니는 여러 개의 작은 금을 팔아 반지를 사주셨다(할아버지는 아직도 이 사실을 모르신다). 시골 금방에서 팔던 코코 크러쉬 링을 받았다. 대학을 졸업하기도 한참 전이었음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