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심아진 #도깨비 #미니픽션 #유지안
- 공공보건의료 #코로나19
- 고려대학교언론학과 #언론학박사논문 #언론인의정체성변화
- 알렉산드라 미하일로브로나 콜른타이 #위대한 사랑 #콜른타이의 위대한 사랑
- 산업재해 #코로나시국
- 김민조 #기록의 기술 #세월호 #0set Project
- 코로나19 #
- 시대의어둠을넘어
- 보건의료
- 518광주민주화운동 #임을위한행진곡
- 쿰벵 #총선
- 국가란 무엇인가 #광주518 #세월호 #코로나19
-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 마크 피셔 #자본주의 리얼리즘 #염동규 #자본주의
- 5.18 #광주항쟁 #기억 #역사연구
- 애도의애도를위하여 #진태원
- 죽음을넘어
- n번방
- 고려대학교대학원신문사
- 권여선 #선우은실 #하늘 높이 아름답게 #김승옥문학상수상작품집
- 쿰벵
- 선우은실
- 수료연구생제도 #고려대학교대학원신문사 #n번방 #코로나19
- 항구의사랑
- 미니픽션 #한 사람 #심아진 #유지안
- 한상원
- BK21 #4차BK21
- 임계장 #노동법 #갑질
- Today
- Total
목록1면/기획 인터뷰 (35)
고려대학교 대학원신문

올해는 전태일 열사가 불의에 맞서 이 세상에 “인간선언의 불꽃”과 같은 메시지를 남기고 간 지 50년이 된 해이다. 전태일 문학상은 “인간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모든 불의에 맞서 그것을 이겨내려 노력하는 모든 사람, 모든 집단의 목소리를 한 데 모으려는 뜻”에서 1988년 처음 제정되었다. 힘든 노동을 마치고 온 일과 후에도 함께 일하는 어린 시다의 고통과 사회의 부조리를 꼼꼼하게 적었던 전태일 열사는 글이라는 기록을 통해서 인간의 고통과 인간다움을 고민했다. 본지에서는 이러한 전태일 열사의 정신을 계승하는 글을 써온 이번 28회 전태일 문학상 수상자 중 르포 분야 수상자인 김여정 선생님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2016년 봄부터 아시아의 학살지를 찾아 유족들을 만나 나눈 기록을 담은「다크투어」는 한국의..

최근 세계 곳곳에서 이상기후 현상이 목격되면서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몇 개월 사이에 일어난 시베리아의 이례적인 고온과 산불, 중국의 홍수와 한국의 폭우, 유럽의 폭염, 미국의 허리케인 등의 이상기후 현상은 각 국가들로 하여금 국제적인 차원의 노력을 더욱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미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난항을 겪고 있는 국제사회의 개체화 현상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사회적 조건의 변화를 통해 이상기후 현상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도, 국제사회가 쉽게 소통할 수 없도록 방해하는 요소로 기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를 연결하기 위한 국제기후협약의 중요성도 함께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코로나19 사태와 이상기후의 실질적인 연관성에 대해 묻는 한..

역대 최고 투표율로 당선된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제33대 총학생회(이하 원총) ‘너나들이’는 2019년 9월부터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대학원생 실태조사와 간식행사, 학술강좌 등 기존사업을 잘 마무리한 것은 물론이고 ‘대학원 연구등록생 제도 신설(안)’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처해 ‘현행유지’라는 값진 성과를 얻어냈다. 설문조사와 과대표자 간담회 등을 발 빠르게 실시하고 다양한 원우들의 의견을 모아 학교 측과 교섭을 잘 이끌어낸 것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본지에서는 임기 동안 느꼈을 여러 문제들과 소회에 대해 묻기 위해 지난 두 학기동안 수고해준 원총 ‘너나들이’의 임서영 회장과 서유리 부회장을 만났다. 일반대학원 총학생회의 성격과 지향성 같은 학생회라고 해도 학부 총학생회와 대학원 총학생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