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고려대학교 대학원신문

열정페이, 배움의 기회인가? 본문

2면/강사 칼럼

열정페이, 배움의 기회인가?

고려대학교 대학원신문 2022. 11. 5. 23:38

열정페이, 배움의 기회인가?

 

  나는 박사급 연구원이다. 꽤 오랜 기간 강의를 해오고 있고 아직도 비전임을 벗어나지 못해 연구원으로 남아있다. 어쩌다 내가 박사까지 공부하게 됐을까를 생각해보니, 초‧중‧고 시절에는 꽤 공부를 잘했고 그래서 남들 다 가고 싶다던 SKY에 장학금 받고 갔고, 학부를 졸업하고 보니 주변에 석사 공부를 시작한 동기나 선배들의 모습에서 내 안의 새로운 학구열이 스멀스멀 올라와 불을 지폈다. 그렇게 석사를 했다. 근데 거기까지는 괜찮았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거기까지만 했어야 했다. 석사를 마치고 바로 박사 진학을 하지 않고 사회로 나가 다른 일을 하면서도 박사에 대한 생각은 계속 나를 흔들었다. 그렇게 박사 유학을 고민하며 여기저기 발을 걸치고 있었는데 지금 돌아보면 그 때 다른 일을 했어야 했다.

 

  박사를 진학해 지도교수가 임원으로 있는 한 학회의 간사 일을 하면서, 한 학기 3학점 정도의 강의를 꾸준히 하면서 그렇게 학위과정을 버텨냈다. 정말 억지로 버텨낸 시간이 맞다. 학회 간사 업무는 끝이 없이 많은 데 그 노력에 대비해 월급은 정말 최저시급도 못 맞추는 수준이다. 최저시급도 못 맞춘다니 정말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학회가 돌아가는 사정을 보면 어디선가 큰 소득이 나올 구석이 없으니 간사 월급을 올려주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솔직하게 말해서 간사 업무는 월급이 주는 금전적 동력이 절반, 내가 봉사한다 생각하는 마음이 절반인데 그렇게 고생 끝에 이력서에 한 줄 얻어낸 간사 이력이 나의 향후 진로에 별 도움이 안 된다는 점이 문제다. 또 사립대학의 3학점 강의료는 40만원에서 60만원 초반대로 학교의 경제력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그렇게 내 청춘의 시간과 노력으로 버텨가며 박사를 졸업할 때 드는 생각은 ‘이제는 돈 좀 벌고 싶다’는 간절한 마음뿐이었다.

 

  박사를 졸업한 지 4년이 지나가고 있는 지금 내 상황은 어떤가? 학과가 수주한 사업에 참여하고 있지만, 연구비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전일제 계약이 어렵다며 시간제 계약을 제시했다. 일주일 중 일정 시간만 일하도록 계약을 했지만 그렇다고 내가 정말 계약서에 쓰여있는 그 시간 만 일을 하는가? 절대 그럴 리가 없지. 내가 졸업한 학과라고 나에게 결코 호의적이지는 않다. 일은 끝도 없고 내가 맡은 일에는 내 책임이 있으니 나는 그 일을 끝내려면 계약서에 명시된 시간보다 두세 배 더 일하고 있다. 아니, 정확하게는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일을 끝낼 수가 없다. 

 

  좋다. 일은 더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왜 일하는 만큼 돈도 주지 않으면서 일을 시키는가? 아니면 돈 주는 만큼만 할 수 있는 일을 주던가. 우리 사회에 만연하게 퍼져있는 열정페이는 회사뿐만 아니라 학계 곳곳에 깊숙하게 스며들어 있다. 그리고 그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수 없도록 하는 위계 구조는 어쩌면 앞으로도 나와 같은 사람들을 계속 만들어낼지도 모른다. ‘좋아하는 공부를 하면서 배움의 기회도 얻고 돈도 벌 수 있다니 참 좋구나’라고 느끼려면 적어도 내 경제생활을 내가 책임지지 않아도 되는 부잣집 자식 정도라면 괜찮을지도 모르겠다. 부모님의 경제력에 기대 나는 공부만 해도 된다면 그까짓 열정페이 무슨 소용이랴.

 

  그런데 최근에 수도권 전문대와 지방 사립대의 전임교수 공고에 지원했다가 교수가 되어도 내 경제력은 나아지지 않을 수도 있겠다는 점을 경험하고 좌절했다. 물론 최종에서 떨어져 기회도 갖지 못했지만, 전문대 전임의 연봉이 삼천만 원 초반대, 지방대 전임도 사천만 원 초반대라는 것이다. 비슷한 경력의 공무원도 오천만 원이 넘고, 대기업 다니는 친구들은 연봉이 팔천만 원을 바라보고 있는 시점에 나의 좌절감은 오늘도 더해져만 간다. 

 

  이런 경제적 문제는 비전임교원의 연구몰입을 철저히 방해한다. 물가가 이렇게 오르는 시기에 월급으로는 절대 생계를 유지할 수 없으니 다른 일을 찾게 되고, 다른 일을 찾아 일하는 동안 시간을 쓰니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시간은 줄고 자연스레 연구 실적은 자꾸 줄어들 수밖에. 악순환의 고리는 이렇게 시작되어 내 시간을 좀먹고 있다. 그래서 나는 오늘도 박사 진학을 고민하는 후배들에게 말한다. 도망가라고. 다른 일을 찾아보라고. 나는 다시 태어나면 절대 박사 안 할 거라고.

'2면 > 강사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도 되긴 되나보네’  (1) 2023.03.15
거인과 난장이의 사회  (0) 2022.12.12
어느 만학도 강사의 독백  (2) 2022.10.08
비나이다 비나이다  (0) 2022.09.02
우리의 노동이 우리를 배신하지 않기를  (0) 2022.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