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시대의어둠을넘어
- 미니픽션 #한 사람 #심아진 #유지안
- 산업재해 #코로나시국
- BK21 #4차BK21
- 권여선 #선우은실 #하늘 높이 아름답게 #김승옥문학상수상작품집
- 죽음을넘어
- 공공보건의료 #코로나19
- 고려대학교대학원신문사
- 국가란 무엇인가 #광주518 #세월호 #코로나19
-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 n번방
- 쿰벵
- 마크 피셔 #자본주의 리얼리즘 #염동규 #자본주의
- 보건의료
- 코로나19 #
- 알렉산드라 미하일로브로나 콜른타이 #위대한 사랑 #콜른타이의 위대한 사랑
- 김민조 #기록의 기술 #세월호 #0set Project
- 선우은실
- 임계장 #노동법 #갑질
- 심아진 #도깨비 #미니픽션 #유지안
- 애도의애도를위하여 #진태원
- 항구의사랑
- 수료연구생제도 #고려대학교대학원신문사 #n번방 #코로나19
- 고려대학교언론학과 #언론학박사논문 #언론인의정체성변화
- 5.18 #광주항쟁 #기억 #역사연구
- 쿰벵 #총선
- 518광주민주화운동 #임을위한행진곡
- 한상원
- Today
- Total
고려대학교 대학원신문
3월 대학원 단신 본문
3월 대학원 학사 일정
3월 4일(화) : 2025학년도 제1학기 개강
3월 4일(화)~14일(금) :
•후기 외국인 입학원서 인터넷 접수
•1학기 석·박사통합과정 및 학·석사 연계과정 조기수료(수업연한단축) 유예 신청서 제출
3월 5일(수)~7일(금) : 전기 종합시험 신청
3월 5일(수)~7일(금) :
•1학기 수강신청 정정 및 확인
•1학기 융합전공 진입 및 포기 신청
3월 12일(수)~21일(금) : 전기 종합시험 시행(학과별 시행)
3월 12일(수)~28일(금) : 외국어시험 면제 신청 접수(학위청구논문 심사신청 조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교육부, ‘국가연구소(NRL 2.0)’ 사업 추진하기로 밝혀…
지난달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지속 가능한 대형·융복합 연구 거점 대학 부설 연구소의 선도모델 창출을 통해 국내 대학의 연구 역량과 연구 지원 체계 개선을 위해 ‘국가연구소(NRL 2.0)’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가연구소로 선정된 곳은 10년간 연 100억 원씩 최대 1천억 원의 지원을 받을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1999년부터 약10년간 400개의 연구실을 NRL(국가지정연구소)로 지정해 지원한 바가 있다. 다만 이번 사업은 기존의 연구책임자를 지원하던 방식이 아닌 대학을 선정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재원은 교육부와 과기정통부가 절반씩 부담한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매년 4개의 연구소를 선정하여 총 12개의 국가연구소를 운영하게 될 예정이다.
선정된 연구소는 예산의 자율적 운용과 연구 인력 확충-연구시설·장비 구축-국내외 공동 연구개발 등을 대학의 특성 및 강점 분야와 연계해 자유롭게 추진하게 된다. 사업 첫해인 올해의 경우 선정 절차 등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 한 해 예산의 절반인 500억 원을 지원받고, 대학별로 최대 3개의 연구소가 신청할 수 있으며 이 중 1개의 연구소가 선정될 수 있다. 이번 사업은 이공 분야 대학 부설 연구소를 대상으로 하며, 기존 연구소뿐 아니라 기존 연구소의 재편 및 신설 연구소 역시 신청이 가능하다. 신청 연구소는 역량 및 발전 계획, 대학의 연구소 육성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받게 된다. 평가를 거쳐 선정된 연구소는 올해 9월부터 사업을 시작하게 되며, 연구 및 대학 행정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자문단을 통해 지속적으로 효율적인운영을 지원받게 된다.
○교육부, 2024년 ‘국립대 양성평등’ 점검 결과 발표해…
지난달 8일 교육부는 ‘2024년 국립대학 양성평등 조치계획 추진실적’ 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국립대학의 성평등 대학문화 조성을 장려하기 위해 2004년부터 교원 임용을 비롯한 학내 의사 결정에 있어서 다양성 확대 등의 성평등 실현 결과를 점검하고 지원해왔다. 특히 「교육공무원법」 등 관련 법령 정비를 통해 대학 교원 중 특정 성별이 4분의 3을 초과하지 않도록 점검했다. 특히 2004년부터 3개년 단위의 ‘1~7단계 양성평등 조치계획 수립·시행 및 점검’ 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하였으며 2024년은 이 사업의 마무리 단계로서, 기존 7단계 평가 목표를 ‘성별 다양성 확보’로 확장하여 평가지표에 ‘성별 다양성이 없는 학부·학과 감축 노력’을 반영하였다. 국립대학 여성 교수의 비율과 주요 위원회 여성 참여 비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나 주요 보직자의 경우 여전히 남녀 간의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예컨대 여성 전임교원의 경우 2024년 목표 비율이었던 20.6%보다 초과 달성하여 21.4%를 차지했으며 신임 교원의 경우 26.8%를 달성했다. 다만 전체 비율로 보았을 때 전임교원의 성별 비율은 여성 21.4%, 남성 78.6%였으며, 신임 교원의 경우 여성 26.8%, 남성 73.2%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위원회 역시 여성 22.3%, 남성 77.7%, 주요 보직자의 경우 여성 13.7%, 남성 86.3%로 여전히 큰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전임 여성 교원은 2022년 19.5%에서 2023년 20.4%, 2024년에는 21.4%로 지속 상승하고 있으며, 주요 위원회와 주요 보직의 여성 참여 비율 역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교 역시 2019년 이래 계속해서 다양성 보고서를 발행하고 있으며 2024년 다양성 보고서가 지난 1월 발표되었다. 본교는 2022년 이후 지속해서 신임 교원의 임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24년은 서울캠퍼스에서 총 95명을 임용하여 최근 3개년 중 가장 많은 인원이 임용되기도 했다. 이 중 남성 신임 교원이 68명으로 71.57%였고, 여성 신임 교원이 27명으로 28.43%였다. 2024년 여성 신규 전임교원 수는 전체 여성 전임교원의 10.26%다. 세종 캠퍼스의 경우 2024년에 임용된 전임교원 18명 중 남성이 77.78%(14명), 여성이 22.22%(4명)이었으며, 2023년과 마찬가지로 2024년 여성 전임교원의 0.01%가 신규 임용된 여성 교원이다. 본교는 다양성 증진을 기반으로 여성 교원 초빙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성 교원 초빙 활성화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또한 교내 주요 보직자 75명 중 여성은 12명으로 전체 보직의 16%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교수의회는 참석자 44명 중 여성이 9명으로 20.46%였다. 교내 다양성 위원회의 경우 여성과 남성의 성비가 각각 4명으로 구성되어 여성 위원장을 두고 있으며, 타 의사결정기구에 비해 여성의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본교 다양성위원회의 보고서는 구성원 다양성을 비롯하여 구성원 포용, 이를 위한 교육 및 제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전문은 고려대학교 다양성위원회 홈페이지(https://diversity.korea.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이수진 기자 susuleemasuri@gmail.com
'2면 > 대학원 단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대학원 단신 (0) | 2025.04.07 |
---|---|
12월 대학원 단신 (0) | 2024.12.27 |
대학원단신(11월호) (0) | 2024.11.07 |
10월 대학원 학사일정 (0) | 2024.10.15 |
9월 대학원 단신 (0) | 2024.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