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임계장 #노동법 #갑질
- 알렉산드라 미하일로브로나 콜른타이 #위대한 사랑 #콜른타이의 위대한 사랑
- 코로나19 #
- 시대의어둠을넘어
- BK21 #4차BK21
- 518광주민주화운동 #임을위한행진곡
- 공공보건의료 #코로나19
- 5.18 #광주항쟁 #기억 #역사연구
- 보건의료
- 김민조 #기록의 기술 #세월호 #0set Project
- 수료연구생제도 #고려대학교대학원신문사 #n번방 #코로나19
- n번방
- 쿰벵
- 마크 피셔 #자본주의 리얼리즘 #염동규 #자본주의
- 항구의사랑
- 국가란 무엇인가 #광주518 #세월호 #코로나19
- 심아진 #도깨비 #미니픽션 #유지안
-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 한상원
- 산업재해 #코로나시국
- 애도의애도를위하여 #진태원
- 미니픽션 #한 사람 #심아진 #유지안
- 고려대학교언론학과 #언론학박사논문 #언론인의정체성변화
- 죽음을넘어
- 쿰벵 #총선
- 선우은실
- 권여선 #선우은실 #하늘 높이 아름답게 #김승옥문학상수상작품집
- 고려대학교대학원신문사
- Today
- Total
목록8면 (121)
고려대학교 대학원신문

새로운 단백질부터 환자 진단까지, 의료와 AI 심혜린 과학칼럼니스트 최근 삼성전자에서 27세 이하의 직장인 천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업무상 도움이 필요할 때 가장 먼저 찾아보는 수단에 관한 질문에 AI라 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80%에 달한다고 한다. 또한, 응답자의 80%는 AI가 업무 방법을 더 낫게 바꿀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AI 기술은 우리 사회에서도 어느덧 일상의 일부가 되었다. 그렇다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은 각 분야에서 어떤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까?지난 27일, 서울에서 열린 ‘리서치앳 코리아’ 행사에서 구글 리서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로리 필그림은 ‘메드-제미나이(Med-Gemini)’에 대한 연구 사례를 발표했다. 메드-제미나이는 구글 리서치와..

아주 사소하지만 중요한 ‘역사탐험’ 연극 역사탐험연구소> 김나볏 연극평론가 올해 극단 그린피그는 ‘월간 역사시비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매달 새 싱글음원을 발표하는 ‘월간 윤종신’처럼 올 한 해 다달이 연극을 만들어 관객과 만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다. 프로젝트명에서 눈에 띄는 것은 ‘월간’ 외에도 또 있다. 바로 ‘역사시비’라는 단어다. 역사적 사건 12가지를 펼쳐 보인다는 의미도 되고, 역사의 시시비비를 가른다는 뜻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자면 역사에 시비를 거는 것도 가능할 것 같은 이름이다. 9명의 연출가가 공동창작을 통해 12개월을 나눠 맡는다. 5월의 역사시비 프로젝트는 박해성 연출가가 맡았다. 연극의 제목은 역사탐험연구소>다. 연극 애호가라면 눈치를 챘을지도 모르겠다. 박해성 연출가가 ..

미래의 에너지, 연료, 플라스틱을 상상하다. 심혜린 과학칼럼니스트 지난 21일 난기류로 인해 런던발 싱가포르행 항공기가 비상 착륙해 1명이 사망하고 70여 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해 국내 연구진과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가 발표한 공동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온난화가 이러한 난기류 발생을 더욱 빈번하게 만들 수 있다고 한다. 1979년부터 2020년 사이 맑은 하늘에서 갑자기 발생하는 난기류를 일컫는 청천 난기류의 발생 건수가 55% 증가했다는 영국 연구진의 연구 결과도 있다. 이처럼 지구온난화는 단순히 지구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넘어 다양한 방면에서 지구의 환경과 생명체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지난 2015년 한국을 포함해 세계 195개국은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자는 목표가 담..

로봇에 새긴, 천 개의 파랑연극 천 개의 파랑> 김나볏 연극평론가 연극계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작품이 우여곡절 끝에 베일을 벗었다. 국립극단 74년 역사상 최초로 로봇 배우가 등장한 연극 천 개의 파랑> 이야기다. 로봇을 소재로 삼는 연극은 요즘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지만, 로봇이 실제로 작동하고 기능하는 연극, 로봇이 엄연한 캐릭터로서 연기하는 연극은 드물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천 개의 파랑> 속 로봇 배우의 출연은 AI와 로봇이 우리 일상 속에 한층 성큼 다가왔음을 실감하게 하기에 충분했다. 연극 천 개의 파랑>은 천선란 작가의 동명 소설을 바탕으로 한 SF다. 그리 멀지 않은 미래, 경마장에서 경주마를 타는 기수가 사람 아닌 로봇이 된 세상이 배경이다. 안락사를 앞둔 경주마 ‘투데이’를 타다..

봄을 알리는 곤충들은 어디에 있나요?-심혜린 (과학칼럼니스트) “봄은 왔는데 침묵만이 감돌았다.(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中)” 지금으로부터 60년 전, 1964년의 봄. 한 여성이 암으로 사망했다. 미국에서 환경 운동 촉발에 큰 영향을 미친 한 권의 저서를 출간한 지 2년이 채 지나지 않은 때였다. 그렇다면 이 여성, 레이첼 카슨이 『침묵의 봄』을 통해 무분별한 살충제 · 제초제 남용으로 인한 환경 파괴에 경종을 울린 때로부터 60여 년이 흐른 지금, 봄을 알리는 새와 곤충들, 그리고 자연에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최근 네이처 지에는 니코틴계 살충제인 네오니코티노이드(neonicotinoid) 살충제가 꿀벌 종의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게재되었다. 네오니코티노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