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니픽션 #한 사람 #심아진 #유지안
- 공공보건의료 #코로나19
- 마크 피셔 #자본주의 리얼리즘 #염동규 #자본주의
- BK21 #4차BK21
- 임계장 #노동법 #갑질
- 알렉산드라 미하일로브로나 콜른타이 #위대한 사랑 #콜른타이의 위대한 사랑
- 한상원
- 쿰벵
- 고려대학교언론학과 #언론학박사논문 #언론인의정체성변화
- 산업재해 #코로나시국
-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 국가란 무엇인가 #광주518 #세월호 #코로나19
- 애도의애도를위하여 #진태원
- 고려대학교대학원신문사
- 항구의사랑
- 5.18 #광주항쟁 #기억 #역사연구
- 시대의어둠을넘어
- 죽음을넘어
- 심아진 #도깨비 #미니픽션 #유지안
- 선우은실
- 코로나19 #
- 쿰벵 #총선
- 김민조 #기록의 기술 #세월호 #0set Project
- 518광주민주화운동 #임을위한행진곡
- 보건의료
- n번방
- 권여선 #선우은실 #하늘 높이 아름답게 #김승옥문학상수상작품집
- 수료연구생제도 #고려대학교대학원신문사 #n번방 #코로나19
- Today
- Total
목록4면/고대 아카데미아 (39)
고려대학교 대학원신문
군 사망사고 유가족의 상실 경험과 애도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심리학부 임상 및 상담심리 전공 김신향 논문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상실과 애도 1) 애도 이론 2) 복합비애 3) 사별 경험에 따른 애도 반응의 차이 2. 군 사망사고 유가족의 애도 1) 군 유가족의 상실 경험의 특징 2) 군 사망사고 유가족에 대한 선행 연구 3. 외상 후 성장 1) 외상 후 성장의 개념 2) 사별 이후의 외상 후 성장 모델 III.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1. 연구목적 2. 연구문제 IV.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5.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V. 연구결과 1. 군 유가족의 상실 경험과 애도 과정에 대한 개념 및 범주 2. 군 유가족의 상실 경험과 애도 과정에 대한..
역량접근과 헌법 이은진 법학과 헌법 전공 논문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헌법에 대한 접근법으로서 역량접근 제1절 역량접근의 의의 Ⅰ. 삶의 질을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로서 역량 Ⅱ. 인간의 다양성을 포착하는 센의 역량접근 Ⅲ. 정의의 필요조건으로서 누스바움의 역량접근 제2절 핵심역량목록과 헌법 Ⅰ. 헌법적 보장이 요구되는 핵심역량목록 Ⅱ. 헌법영역에서 역량접근의 의미 Ⅲ. 역량접근의 헌법적 적용의 의미와 난점 제3절 역량으로서 기본권의 의미 Ⅰ. 기본권 내에서의 역량의 역할 Ⅱ. 역량관점으로 본 기본권의 3가지 이해 Ⅲ. 역량증진이 중심이 되는 국가 제3장 통합적 기본권으로서 사회권 제1절 기본권에 대한 통합적 이해의 부재 Ⅰ. 사회권 규범력의 약화 Ⅱ..

이승만 정부시기 의사 집단의 보건의료체제 구상과 재편 김진혁 한국사학과 한국근현대사 전공 논문목차 서론 제1절 문제 제기 제2절 연구 대상과 주요 개념 제3절 연구사 검토와 연구과제 제4절 논문 구성과 연구 범위 제1장 해방 직후 의사 집단의 보건의료행정 참여 제1절 보건의료정책 집단 형성의 배경과 성격 1.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의료체제 운영과 한계 2. 미군정의 보건의료 정책집단 구성과 역할 제2절 미군정의 보건의료 정책과 의사 집단의 대응 1. 미군정의 개혁 보류와 보건의료문제 해결 방침 2. 남북 분단과 의료자원 편중 문제의 대두 제2장 전전 보건의료 확대 추진과 의사 집단의 개입 제1절 의사 집단의 체제 재편 구상과 정부의 수용 1. 의사 집단의 보건의료체제 개혁의식과 지향의 수렴 2. 중앙보건행..

한국 청년의 '아픔'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2000년 이후 불안한 청년 의식의 사회적 기원 정나리 사회학과 사회학 전공 1. 서론 1.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3 논문의 구성 2. 이론적 배경 2.1. 세대 사회학의 연구 경향 2.2 사회학에서의 감정 연구 2.3. 이론적 배경 2.4 분석틀 3. IMF 이후 한국 사회의 구조 변동 3.1 외환위기와 대량실업 3.2 가장의 실직과 가족의 해체 3.3 중산층의 몰락과 계층 재구조화 3.4 노동유연화와 고용 양극화 4. 한국 사회의 구조 변동과 청년의 기대 가치 4.1 청년기 발달과업과 일자리의 의미 4.2 안정 욕구와 괜찮은 일자리 4.3 괜찮은 일자리의 선호와 고등교육의 확산 4.4 제한된 일자리 인식 5. 청년 ..

일제하 평양부 ‘개발’과 조선인 엘리트의 ‘지역정치’ 주동빈 한국사학과 한국근현대사 전공 서론 제1장 소외기(1914~1918) : 평양 개발의 ‘이중구조’와 조선인 소외 제1절 일본인 중심의 행정구역 및 권리 재편 시도 제2절 토목비 지출의 ‘이중구조’ 제3절 재원 부족과 ‘大平壤’론에 함축된 부 세입 확대책 제2장 형성기(1919~1928) : ‘국책’ 개발 실패와 조선인의 주도권 장악 제1절 ‘국책’ 기반 ‘東平壤’ 개발론과 조선인 지역 여론 환기 제2절 ‘식민지 조선 단위’의 이해관계 조정 실패와 동평양 개발론 무산 제3절 電氣府營 후 조선인의 府 ‘豫算政治’ 주도와 북부 개발 결정 제3장 대립기(1929~1937) : 개발의 제한적 수혜와 조선인 정치세력 약화 제1절 조선인 대상 시가계획의 배경..

독일 초기 낭만주의의 열린 구조와 현재성 : 노발리스와 프리드리히 슐레겔을 중심으로 김진환 독어독문학과 현대독문학 전공 1. 서론 1.1. 연구 목표 1.2. 선행 연구 검토 1.3. 연구 대상 및 범위 1.4. 연구 배경 및 의의 2. 낭만적 정신의 토대 2.1. 토대로서의 ‘반토대주의’: 피히테의 절대자아에서 타자관계적 자아로 2.2. ‘무한성’의 이념: 유한성의 괴테에서 무한성의 낭만적 문학으로 3. 열림과 닫힘의 무한 교환으로서의 낭만적 세계 3.1. ‘파라바시스’부터 ‘아이러니의 아이러니’까지: 열림의 기제로서의 낭만적 아이러니 3.2. ‘아름다운 혼잡’: 아라베스크 문양의 낭만적 상징성 3.3. ‘보편적 무질서’: 카오스와 무한한 개방의 세계 4. 언어 또는 의미의 종결을 넘어 4.1. 노발리..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 논문 김태영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전공 논문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및 문제 제기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향 및 연구 대상 제2장. 여성 영웅 인물의 여성인식 형상화 양상 1. : 여성의 삶에 대한 거부 1) 인물 형상화의 특징 (1) 가문을 계승하는 남성의 삶 희구 (2) 시묘살이를 책임지는 장자의 역할 수행 (3) 대외적 인정 및 입신양명의 추구 2) 서사전개의 특성 (1) 주변인물과의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여도 거부 (2) 주변 인물의 개입을 통한 여성 복귀 추동과 거부의 지속 2. : 여성의 삶에 대한 번민 1) 인물 형상화의 특징 (1) 규중(閨中) 여성의 삶에 대한 회의 (2) 영웅 및 남성의 삶 실현에 따른 번민 2) 서사전개의 특징 (1) 주변 ..
비교문학비교문화협동과정 박사학위 논문 신춘란 비교문학비교문화이론 전공 논문 목차 Ⅰ. 서 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대상 2. 연구사 검토 및 연구의 시각 Ⅱ. 리앙: 1940~50년대 국민당 통치 초기 배경 소설을 중심으로 1. 2・28사건의 재현과 타이완의 위치 1) 가계(家係)의 복원과 민족의 역사 2) 귀신의 집체성과 타이완 정체성 3) 대리인으로서의 여성과 권력의 장소 2. 폭력과 맞서는 섹슈얼리티 1) 여성의 육체와 주체의식 2) 화장(化粧)하는 퀴어, 죽음이라는 제의 3) 전복적인 섹슈얼리티 3. 정체성의 중첩과 시간의 중첩 1) 이름/명명(命名)과 언어의 다중성 2) 자기 반영적 기억의 기술 Ⅲ. 훙잉: 1960~70년대 문화대혁명기 배경 소설을 중심으로 1. 문화대혁명 전후의 시대적 참상 ..